2017년 노인인구 유년인구 앞질러… 2026년 초고령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5-10-21 00:00 조회 4,207회 댓글 0건본문
2017년 노인인구 유년인구 앞질러… 2026년 초고령 사회
[세계일보 2005-10-06 20:22:24]
우리나라가 2017년에는 노인(65세 이상) 인구가 유년(0∼14세) 인구를 추월하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노인 비중 14∼20%)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 20% 이상)로 각각 진입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지난해 전국 35개 시·군·구가 이미 초고령사회로 접어드는 등 농어촌 지역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노인 부양비 또한 크게 늘고 있다.
통계청은 6일 ‘2005 고령자 통계’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노령화지수는 47.4로 10년 전의 25.2보다 배나 늘었고, 2010년과 2020년에는 각각 66.8과 124.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노령화지수는 ‘유년인구 100명당 노인인구’로서 2017년에 104.7로 처음으로 노인인구가 유년인구를 앞지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 추정치에 비해 2년이나 앞당겨진 것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부양해야 할 노인인구 비율인 노년부양비율은 1990년 7.4%, 1995년 8.3%, 2000년 10.1%, 2005년 12.6%의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2030년에는 37.3%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생산가능인구 2.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지역별 편차 또한 크다. 지난해 기준으로 경남 남해군은 노인비율이 25.8%나 돼 가장 높았고, 경남 의령군과 경북 군위군도 4명당 1명이 노인인 것으로 집계됐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기초자치단체는 모두 35개로 2003년에 비해 5개가 더 늘었다. 광역자치단체별로는 ▲전남 14.9% ▲충남 13.1% ▲경북 12.9% ▲전북 12.5% 순이었다. 울산이 5.0%로 가장 낮았고, 서울과 나머지 5개 광역시는 모두 6∼7%로 나타나는 등 도농 간 고령화 격차가 2∼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또 2003년 기준으로 노인인구 중 자신의 소득에 만족하는 경우는 10.4%에 불과하고, 소비생활에 만족하는 경우는 9.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1999년의 10.6%, 9.6%보다 각각 소폭 감소한 것으로 노인 복지에 관한 추가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 건강보험으로 지출된 노인 의료비는 5조1097억원(전체의 22.9%)으로 전년도의 4조3723억원보다 무려 16.9%나 증가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이혼건수는 남자가 2373명으로 10년 전의 4배, 여자는 837명으로 5배 각각 늘었다. 재혼건수도 남자가 1417명, 여자가 338명으로 각각 10년 전보다 1.8배, 2.5배 늘어 달라진 풍속도를 반영했다.
김창덕 기자
[세계일보 2005-10-06 20:22:24]
우리나라가 2017년에는 노인(65세 이상) 인구가 유년(0∼14세) 인구를 추월하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노인 비중 14∼20%)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 20% 이상)로 각각 진입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지난해 전국 35개 시·군·구가 이미 초고령사회로 접어드는 등 농어촌 지역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노인 부양비 또한 크게 늘고 있다.
통계청은 6일 ‘2005 고령자 통계’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노령화지수는 47.4로 10년 전의 25.2보다 배나 늘었고, 2010년과 2020년에는 각각 66.8과 124.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노령화지수는 ‘유년인구 100명당 노인인구’로서 2017년에 104.7로 처음으로 노인인구가 유년인구를 앞지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 추정치에 비해 2년이나 앞당겨진 것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부양해야 할 노인인구 비율인 노년부양비율은 1990년 7.4%, 1995년 8.3%, 2000년 10.1%, 2005년 12.6%의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2030년에는 37.3%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생산가능인구 2.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지역별 편차 또한 크다. 지난해 기준으로 경남 남해군은 노인비율이 25.8%나 돼 가장 높았고, 경남 의령군과 경북 군위군도 4명당 1명이 노인인 것으로 집계됐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기초자치단체는 모두 35개로 2003년에 비해 5개가 더 늘었다. 광역자치단체별로는 ▲전남 14.9% ▲충남 13.1% ▲경북 12.9% ▲전북 12.5% 순이었다. 울산이 5.0%로 가장 낮았고, 서울과 나머지 5개 광역시는 모두 6∼7%로 나타나는 등 도농 간 고령화 격차가 2∼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또 2003년 기준으로 노인인구 중 자신의 소득에 만족하는 경우는 10.4%에 불과하고, 소비생활에 만족하는 경우는 9.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1999년의 10.6%, 9.6%보다 각각 소폭 감소한 것으로 노인 복지에 관한 추가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 건강보험으로 지출된 노인 의료비는 5조1097억원(전체의 22.9%)으로 전년도의 4조3723억원보다 무려 16.9%나 증가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이혼건수는 남자가 2373명으로 10년 전의 4배, 여자는 837명으로 5배 각각 늘었다. 재혼건수도 남자가 1417명, 여자가 338명으로 각각 10년 전보다 1.8배, 2.5배 늘어 달라진 풍속도를 반영했다.
김창덕 기자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6-05-31 09:27:42 복지관련보도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