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36만여명 추정… 孝心수발 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5-09-29 00:00 조회 2,070회 댓글 0건본문
"암보다도 무서운 게 치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치매로 인해 개인·가족·사회 전체가 치러야 하는 비용은 막대하다. 암은 환자 스스로 겪는 고통이 가장 크지만 치매는 환자보다는 부양 가족,나아가서는 가족 구성원 전체의 경제적·정서적 파탄으로 이어진다.심지어 가족관계마저 해체되는 불행을 맞기도 한다.
◇8년전 통계 기본자료로=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로 추정될 정도로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체계적인 실태 조사도 이뤄지지 않은 채 8년전 자료가 기본 통계로 활용되는 등 치매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본 인프라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실정이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 치매관리의 기본통계로 활용되고 있는 치매관리 맵핑 개발연구 보고서(1997년 보건사회연구원 조사)는 2005년 7월 현재 우리나라 치매노인이 65세 이상 인구의 8.3%인 36만4000명으로 추산했다. 또 2010년 46만400명(8.6%),2015년에는 58만명(9.0%)으로 늘어날 것으로 이 보고서는 내다봤다.
하지만 이 조사는 8년 전에 실시돼 그 동안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데다 치매 환자의 소득별 분포,환자와 간병인 간의 관계 등 치매관리에 요구되는 필수 정보가 결여돼 자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최근 증가하고 있는 65세 미만 성인치매(조발성 치매)에 대해서는 관련 통계나 정보가 전무하다.
이에 따라 정책 수립의 기본 자료인 치매 환자 현황을 놓고도 이견이 적지 않다.
복지부 장병원 노인요양보장과장은 "농촌지역의 치매 노인 유병률은 8%를 넘지만 도시지역은 5∼6%대인 것으로 판단돼 노인 10%가 치매 환자라는 추정은 과다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당수 학자들은 국내 노인 중 치매 환자가 10%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다.서울대학교 의대 김상윤 교수는 "지역에 따라서는 유병률이 11%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며 "현재 노인들의 뇌 발달 시기였던 1940·50년대의 불량한 영양상태,교육수준,정서적 환경 등을 고려할 때 치매 발병률이 10%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러한 논란을 불식시키고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서 최소한 4∼5년마다 정부 주도의 전국민 치매 실태조사가 실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일본에서는 3년마다 치매 실태 조사가 시행되고 있다.
◇하드·소프트웨어 모두 취약=정부도 치매 환자 급증의 심각성을 인식,2008년 7월부터 노인수발보장제를 시행하기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하지만 요양·치료시설 확충,치료 인력 양성,환자 가족에 대한 지원,의료서비스 질 향상 등 개선해야 할 점이 산적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치매 치료의 하드웨어라고 할 요양·치료 시설부터 턱없이 부족하다.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은 약 9만3000명이나 시설정원은 2만3000명 정도에 불과하다.또한 중산 서민층 이용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비용도 한달 100만∼250만원으로 지나치게 비싸다.1997년부터 치매 노인 등록관리와 상담 관리를 위해 치매상담센터가 운영중이지만 2004년말 현재 등록환자는 1만6000명에 불과하다.
치매의 경우 환자 가족이 간병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에서 간병비와 시설 요양비에 대한 근로소득 공제와 건강보험 급여 혜택 등으로 환자 가족에 대한 지원대책도 마련해야 한다.특히 치매 환자도 장애인으로 등록 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기 발견·예방 시스템 시급=치매는 일반적으로 완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기 발견할 경우 증상을 완화하고 뇌의 퇴행시기를 상당기간 연기할 수 있다.이런 점에서 치매 환자의 치료와 관리뿐 아니라 조기발견 및 예방도 매우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삼성의료원 마덕렬 교수는 "국가와 사회의 무관심으로 치매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할 뿐 아니라 발병위험자 및 초기 인지장애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의료대책이 없는 상황"이라며 "우리나라에 맞는 독자적인 검사방법과 진단 시스템 개발 지원 등으로 치매 환자 감소를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8년전 통계 기본자료로=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로 추정될 정도로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체계적인 실태 조사도 이뤄지지 않은 채 8년전 자료가 기본 통계로 활용되는 등 치매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본 인프라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실정이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 치매관리의 기본통계로 활용되고 있는 치매관리 맵핑 개발연구 보고서(1997년 보건사회연구원 조사)는 2005년 7월 현재 우리나라 치매노인이 65세 이상 인구의 8.3%인 36만4000명으로 추산했다. 또 2010년 46만400명(8.6%),2015년에는 58만명(9.0%)으로 늘어날 것으로 이 보고서는 내다봤다.
하지만 이 조사는 8년 전에 실시돼 그 동안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데다 치매 환자의 소득별 분포,환자와 간병인 간의 관계 등 치매관리에 요구되는 필수 정보가 결여돼 자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최근 증가하고 있는 65세 미만 성인치매(조발성 치매)에 대해서는 관련 통계나 정보가 전무하다.
이에 따라 정책 수립의 기본 자료인 치매 환자 현황을 놓고도 이견이 적지 않다.
복지부 장병원 노인요양보장과장은 "농촌지역의 치매 노인 유병률은 8%를 넘지만 도시지역은 5∼6%대인 것으로 판단돼 노인 10%가 치매 환자라는 추정은 과다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당수 학자들은 국내 노인 중 치매 환자가 10%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다.서울대학교 의대 김상윤 교수는 "지역에 따라서는 유병률이 11%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며 "현재 노인들의 뇌 발달 시기였던 1940·50년대의 불량한 영양상태,교육수준,정서적 환경 등을 고려할 때 치매 발병률이 10%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러한 논란을 불식시키고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서 최소한 4∼5년마다 정부 주도의 전국민 치매 실태조사가 실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일본에서는 3년마다 치매 실태 조사가 시행되고 있다.
◇하드·소프트웨어 모두 취약=정부도 치매 환자 급증의 심각성을 인식,2008년 7월부터 노인수발보장제를 시행하기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하지만 요양·치료시설 확충,치료 인력 양성,환자 가족에 대한 지원,의료서비스 질 향상 등 개선해야 할 점이 산적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치매 치료의 하드웨어라고 할 요양·치료 시설부터 턱없이 부족하다.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은 약 9만3000명이나 시설정원은 2만3000명 정도에 불과하다.또한 중산 서민층 이용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비용도 한달 100만∼250만원으로 지나치게 비싸다.1997년부터 치매 노인 등록관리와 상담 관리를 위해 치매상담센터가 운영중이지만 2004년말 현재 등록환자는 1만6000명에 불과하다.
치매의 경우 환자 가족이 간병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에서 간병비와 시설 요양비에 대한 근로소득 공제와 건강보험 급여 혜택 등으로 환자 가족에 대한 지원대책도 마련해야 한다.특히 치매 환자도 장애인으로 등록 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기 발견·예방 시스템 시급=치매는 일반적으로 완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기 발견할 경우 증상을 완화하고 뇌의 퇴행시기를 상당기간 연기할 수 있다.이런 점에서 치매 환자의 치료와 관리뿐 아니라 조기발견 및 예방도 매우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삼성의료원 마덕렬 교수는 "국가와 사회의 무관심으로 치매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할 뿐 아니라 발병위험자 및 초기 인지장애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의료대책이 없는 상황"이라며 "우리나라에 맞는 독자적인 검사방법과 진단 시스템 개발 지원 등으로 치매 환자 감소를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6-05-31 09:27:42 복지관련보도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