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회 “노인학대 매년 39% 급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11-30 00:00 조회 1,512회 댓글 0건본문
남 4녀를 둔 A(87)할머니는 3년 전부터 함께 살고 있는 장남이 사업에 실패한 뒤 술을 입에 대면서 목을 조르고 물건을 집어던지는 등 아들의 상습적인 학대로 고통의 나날을 보내다 최근 요양시설에 입소했다.
4년제 대학을 나와 버젓한 직장을 다니는 아들(39)은 수년간 돈이 필요할 때면 홀어머니인 김모 노인(여·76)을 수시로 흉기까지 들고 협박하고 구타해 돈을 챙기곤 했다. 현재는 아들의 학대를 피해 따로 살고 있다.
이처럼 학대받는 노인 대다수가 아들과 며느리로부터 피해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년간 노인학대상담센터 전국 14개 지부의 통계에 의하면 노인학대 사례는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939건, 2004년도 1월부터 10월까지 접수된 사례는 1,123건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9%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해자 유형을 보면 2003년 아들 620명, 며느라 454명, 2004년 아들 701명, 며느리 403명으로 아들, 며느리가 가해자 유형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에 심각성이 커지자 대한의사협회(협회장 김재정) 산하 국민의학지식향상위원회(위원장 윤방부·연세의대 가정의학과 교수) 주최로 열린 노인학대의 현황과 대책 심포지엄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미혜 교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는 그 피해영역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나 배우자학대에 비해 관심과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사회적 차원의 대책과 접근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김 교수는 "산업화, 인구고령화, 핵가족화 등의 요인들로 노인 부양의 부담을 가족에게 전담시켜 가해자를 만들고 있는 형편??이라고 지적하고??노인학대를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적절한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노인학대의 대책으로 ▲정확한 노인학대 실태 파악 및 노인학대 판정 기준 마련 ▲노인학대 종합서비스 시스템 마련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교육 및 예방교육 실시 등을 제시하고 전국 16개 지역에 노인학대예방센터가 학대방지와 대처를 위한 선구자 역할을 담당해 줄 것을 요구했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한동희(세계노인학대방지망) 한국대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선입감을 없애고 노인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찾아가는 상담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예방과 교육 개입의 다양한 접근이 시도될 때 노인학대 없는 사회로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속적인 문제제기를 통해 노인학대에 관심을 가지고 이슈화 될 수 있도록 전문가, 시민단체, 언론과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제휴사/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김혜영 기자 purephoto@mdtoday.co.kr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국민일보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4년제 대학을 나와 버젓한 직장을 다니는 아들(39)은 수년간 돈이 필요할 때면 홀어머니인 김모 노인(여·76)을 수시로 흉기까지 들고 협박하고 구타해 돈을 챙기곤 했다. 현재는 아들의 학대를 피해 따로 살고 있다.
이처럼 학대받는 노인 대다수가 아들과 며느리로부터 피해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년간 노인학대상담센터 전국 14개 지부의 통계에 의하면 노인학대 사례는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939건, 2004년도 1월부터 10월까지 접수된 사례는 1,123건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39%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해자 유형을 보면 2003년 아들 620명, 며느라 454명, 2004년 아들 701명, 며느리 403명으로 아들, 며느리가 가해자 유형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에 심각성이 커지자 대한의사협회(협회장 김재정) 산하 국민의학지식향상위원회(위원장 윤방부·연세의대 가정의학과 교수) 주최로 열린 노인학대의 현황과 대책 심포지엄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미혜 교수(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는 그 피해영역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나 배우자학대에 비해 관심과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사회적 차원의 대책과 접근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김 교수는 "산업화, 인구고령화, 핵가족화 등의 요인들로 노인 부양의 부담을 가족에게 전담시켜 가해자를 만들고 있는 형편??이라고 지적하고??노인학대를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식하고 적절한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노인학대의 대책으로 ▲정확한 노인학대 실태 파악 및 노인학대 판정 기준 마련 ▲노인학대 종합서비스 시스템 마련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교육 및 예방교육 실시 등을 제시하고 전국 16개 지역에 노인학대예방센터가 학대방지와 대처를 위한 선구자 역할을 담당해 줄 것을 요구했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한동희(세계노인학대방지망) 한국대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선입감을 없애고 노인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찾아가는 상담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예방과 교육 개입의 다양한 접근이 시도될 때 노인학대 없는 사회로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속적인 문제제기를 통해 노인학대에 관심을 가지고 이슈화 될 수 있도록 전문가, 시민단체, 언론과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제휴사/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김혜영 기자 purephoto@mdtoday.co.kr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국민일보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