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11-30 00:00 조회 1,467회 댓글 0건본문
[서울신문 2005-07-30 11:27]
며칠 전 통계청은 최근 3년 만에 65세 이상 고령자의 자살이 2배 이상 급증했다고 발표했다.1983년의 통계와 비교하면 무려 5배나 증가한 수치라 매우 충격적이지만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니 슬프기까지 하다.
자살이란 인간 삶에서 드러나는 가장 절망적인 행위이다. 자살자는 보통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데 실패한 사람이거나, 혹은 경솔한 결정이나 혼란 때문에 자신에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순간에 자기 스스로를 어리석게 만들고, 또 자신의 삶을 망쳤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자살은 물론 개인만의 문제로 비켜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일종의 사회병리현상이다.
현대인의 삶에서 경험되는 급격한 변화는 기존의 질서와 가치를 크게 동요시키면서 새로운 질서, 가치는 정착되지 못하고 삶에 불안과 혼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일상에서 부딪치는 사회생활의 모순과 대립 그리고 기존의 가치관이 서로 싸우면서 자살, 이혼, 범죄, 폭력 등이 급증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직시할 때 고령자의 자살 역시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들 가운데 하나이다.
경제적 능력의 상실과 핵가족화, 그리고 건강의 악화 등이 노인 자살자 증가의 주원인이라고 하지만, 더욱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사회가 어느새 노인들을 소외시키는 사회로 변질되었다는 데서 찾아야 할 것이다.
예부터 우리나라는 적어도 부모에 대한 효도나 노인 공경에 있어서는 크게 자랑할 만한 전통을 지닌 나라였지만, 이제는 단지 외형적으로만 유지될 뿐 실질적으로 전통적인 가치관과 윤리의식은 사라져버린 지 오래이다. 자살의 증가뿐만이 아니다. 독거노인의 반 가까이가 하루 한 끼를 굶고 있고, 또 경제력을 상실하고, 건강 악화로 고통받는 노인들은 스스로를 가족과 사회의 큰 짐으로 느끼고 있다는 것도 큰 문제이다.
현대사회의 변화가 현대인의 의식 변화를 가져왔다고는 하지만 사회가 아무리 변했다고 해도 변해서는 안 될 가치들이 있지 않은가.
그럼에도 노인들 스스로가 가족과 사회의 짐이 되고 있다는 자괴감과, 그러므로 차라리 죽음이 삶을 더욱 편하게 할 것이라는 패배감이 우리를 슬프게 한다.
노인이기 때문에 사회의 경제활동 주역에서 떠나 있고, 건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를 부담으로 여긴다고 해도, 그들은 어디까지나 우리 사회를 이끌었던 주역으로서 우리 모두의 존경의 대상이며, 삶의 지혜를 자손들에게 전달해주는 지혜의 샘이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명백히 우리 사회의 주요한 한 구성원으로서 보호받을 자격이 있으며, 어느 누구도 이를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유엔은 이미 14년 전 ‘고령화사회에서 노인들을 위한 원칙’을 발표했는데 그 주요 특징은 독립, 참여, 돌봄, 자기실현, 존엄의 다섯 가지이다. 곧 노인은 정신적·신체적인 학대는 물론 착취를 당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지니고 말년을 평화롭게 지낼 수 있어야 하며, 누구나 자신이 설계하는 인생을 편안히 누리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노인들을 위한 여러 정책들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우선 내 주변부터 눈을 돌려야겠다. 혹시 부모님과 멀리 떨어져 사는 자식이라면 주말을 이용해 찾아뵙거나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전화 안부라도 여쭙는 것이 부모님의 소외감을 덜어주는 작은 효도일 것이다.
현대의 무질서한 사회 변화와 가치관의 혼란이 우리 사회에서 공경받아야 할 노인들을 소외와 죽음으로 내몰지 않도록 우선 나 자신의 작은 노력과 변화가 필요하다. 내 작은 변화는 분명히 노인 공경에 대한 우리 사회의 아름다운 전통과 귀한 가치관을 더욱 밝게 빛낼 것이며, 나아가 우리 사회를 인간 모두가 존중되는 사회로 변화시키지 않을까.
이동익 가톨릭대 교수·신부
며칠 전 통계청은 최근 3년 만에 65세 이상 고령자의 자살이 2배 이상 급증했다고 발표했다.1983년의 통계와 비교하면 무려 5배나 증가한 수치라 매우 충격적이지만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니 슬프기까지 하다.
자살이란 인간 삶에서 드러나는 가장 절망적인 행위이다. 자살자는 보통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데 실패한 사람이거나, 혹은 경솔한 결정이나 혼란 때문에 자신에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순간에 자기 스스로를 어리석게 만들고, 또 자신의 삶을 망쳤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자살은 물론 개인만의 문제로 비켜갈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일종의 사회병리현상이다.
현대인의 삶에서 경험되는 급격한 변화는 기존의 질서와 가치를 크게 동요시키면서 새로운 질서, 가치는 정착되지 못하고 삶에 불안과 혼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일상에서 부딪치는 사회생활의 모순과 대립 그리고 기존의 가치관이 서로 싸우면서 자살, 이혼, 범죄, 폭력 등이 급증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직시할 때 고령자의 자살 역시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들 가운데 하나이다.
경제적 능력의 상실과 핵가족화, 그리고 건강의 악화 등이 노인 자살자 증가의 주원인이라고 하지만, 더욱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사회가 어느새 노인들을 소외시키는 사회로 변질되었다는 데서 찾아야 할 것이다.
예부터 우리나라는 적어도 부모에 대한 효도나 노인 공경에 있어서는 크게 자랑할 만한 전통을 지닌 나라였지만, 이제는 단지 외형적으로만 유지될 뿐 실질적으로 전통적인 가치관과 윤리의식은 사라져버린 지 오래이다. 자살의 증가뿐만이 아니다. 독거노인의 반 가까이가 하루 한 끼를 굶고 있고, 또 경제력을 상실하고, 건강 악화로 고통받는 노인들은 스스로를 가족과 사회의 큰 짐으로 느끼고 있다는 것도 큰 문제이다.
현대사회의 변화가 현대인의 의식 변화를 가져왔다고는 하지만 사회가 아무리 변했다고 해도 변해서는 안 될 가치들이 있지 않은가.
그럼에도 노인들 스스로가 가족과 사회의 짐이 되고 있다는 자괴감과, 그러므로 차라리 죽음이 삶을 더욱 편하게 할 것이라는 패배감이 우리를 슬프게 한다.
노인이기 때문에 사회의 경제활동 주역에서 떠나 있고, 건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를 부담으로 여긴다고 해도, 그들은 어디까지나 우리 사회를 이끌었던 주역으로서 우리 모두의 존경의 대상이며, 삶의 지혜를 자손들에게 전달해주는 지혜의 샘이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명백히 우리 사회의 주요한 한 구성원으로서 보호받을 자격이 있으며, 어느 누구도 이를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유엔은 이미 14년 전 ‘고령화사회에서 노인들을 위한 원칙’을 발표했는데 그 주요 특징은 독립, 참여, 돌봄, 자기실현, 존엄의 다섯 가지이다. 곧 노인은 정신적·신체적인 학대는 물론 착취를 당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지니고 말년을 평화롭게 지낼 수 있어야 하며, 누구나 자신이 설계하는 인생을 편안히 누리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노인들을 위한 여러 정책들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우선 내 주변부터 눈을 돌려야겠다. 혹시 부모님과 멀리 떨어져 사는 자식이라면 주말을 이용해 찾아뵙거나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전화 안부라도 여쭙는 것이 부모님의 소외감을 덜어주는 작은 효도일 것이다.
현대의 무질서한 사회 변화와 가치관의 혼란이 우리 사회에서 공경받아야 할 노인들을 소외와 죽음으로 내몰지 않도록 우선 나 자신의 작은 노력과 변화가 필요하다. 내 작은 변화는 분명히 노인 공경에 대한 우리 사회의 아름다운 전통과 귀한 가치관을 더욱 밝게 빛낼 것이며, 나아가 우리 사회를 인간 모두가 존중되는 사회로 변화시키지 않을까.
이동익 가톨릭대 교수·신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