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뉴스 < 돌봄테크 > ① 입소자 밥 먹여주는 로봇 1대, 사람 2명 몫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3-10-06 11:44 조회 594회 댓글 0건본문
- 입력 2023.09.28 12:00
요양원 근무자 90% "신기술 도입 필요"
기술 이용 어려워 교육 지원부터 해야
일본의 돌봄 로봇 '로베아'(Robear). /로베아
로봇 팔이 밥을 떠서 어르신 입 앞으로 가져다 준다. 샤워를 할 때에도 자동으로 샴푸와 바디워시가 나오고 음성 인식을 통해 물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스웨덴 요양원에선 '복지 요양 기술'이 활성화됐다. 이를 통해 요양보호사 인력난을 해소하고 입소자의 복지 서비스 질을 높이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한국에선 기술 이용자와 공급자 간 교육 보급·기술 사용 숙련도 저하 등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기술 도입에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26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북유럽의 상황은 복지 기술이 인구 고령화와 일선 돌봄 인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인 요양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혁신적인 복지 기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이러한 기술은 보조 기술, 안전 기술 등 다양한 범주에 걸쳐 있다.
한국의 사정은 어떨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틀 안에서 복지기술에 대한 관점은 요양원과 정부 사이에서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 복지기술을 둘러싼 논의는 북유럽에 비해 극히 제한적이다. 정부에선 기술 도입에만 열중하는 모양새다. 이를 실제 활용해야 하는 요양원 입소자와 요양보호사 등 이용자는 '다루기 어려운 기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교육부터 제대로 해 달라'는 요구가 빗발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간한 ‘건강보장 이슈앤뷰(Issue&View) 59호'에 따르면 국내 복지 기술 활용을 분석한 결과 안전기술 중 낙상방지 센서는 간병인의 16.9%, 사용자 보호자의 13.2%만이 사용하는 등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마찬가지로 안전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하는 간병인은 16.1%에 불과했다.
낮은 도입률에도 불구하고 복지 기술 도입 필요성에는 요양원 근무자 과반 이상이 동의하고 있다. 시설관리자(90.3%), 간병인(96.6%), 이용자 보호자(73.6%)의 상당수가 복지 기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안전기술과 치료기술에 대한 욕구도 상당하다. 낙상방지 센서는 시설관리자 82.4%, 간병인 81.8%, 이용자 보호자 70.9%가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 치료기술의 하위 카테고리인 센서기술은 시설관리자 76.9%, 간병인 65.6%, 이용자 보호자 72.9%가 필요성에 동의했다.
하지만 기술 이용자 21.6%는 복지 기술 사용과 관련 복잡성과 어려움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요양보호사 관리자 등 이용자 18.2%는 기술 교육에 대한 공공 재정 지원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았고 17.4%는 기기 오작동 대응의 어려움을 꼽았다.
요양업계에선 "근로자 훈련 및 교육이 복지 기술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영역"이라는 입장이다. 기타 중요한 지원 분야로는 장비 구입을 위한 재정 지원(26.3%)과 신뢰할 수 있는 복지 기술 기기 개발(13.8%)이라고 답했다.
한 요양보호사는 "복지 기기의 기술이 너무 정교하고 또 요양보호사 관련 입장에서 이런 기술을 다루는 숙련도가 중요한데 부적절한 정보 보급 및 교육, 효과를 측정하고 검증할 수 있는 지표의 부족함을 먼저 개선되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연구원 관계자는 "노인과 그 가족의 입장에서는 복지기술을 인간 돌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지원을 통해 인간 서비스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정보 부족으로 복지 기술에 어려움을 겪는 이용자에 대한 적절한 지도와 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관과 근로자에게는 전문교육을 통한 근로자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김미림 한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올바른 정책 개입과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동 노력을 통해 복지 기술 도입 관련 이용자와 공급자의 격차를 해소하고 노인 인구와 간병인을 위한 복지 기술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출처 : 여성경제신문(https://www.womaneconomy.co.kr)
로봇 팔이 밥을 떠서 어르신 입 앞으로 가져다 준다. 샤워를 할 때에도 자동으로 샴푸와 바디워시가 나오고 음성 인식을 통해 물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스웨덴 요양원에선 '복지 요양 기술'이 활성화됐다. 이를 통해 요양보호사 인력난을 해소하고 입소자의 복지 서비스 질을 높이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한국에선 기술 이용자와 공급자 간 교육 보급·기술 사용 숙련도 저하 등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기술 도입에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26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북유럽의 상황은 복지 기술이 인구 고령화와 일선 돌봄 인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인 요양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혁신적인 복지 기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이러한 기술은 보조 기술, 안전 기술 등 다양한 범주에 걸쳐 있다.
한국의 사정은 어떨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틀 안에서 복지기술에 대한 관점은 요양원과 정부 사이에서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 복지기술을 둘러싼 논의는 북유럽에 비해 극히 제한적이다. 정부에선 기술 도입에만 열중하는 모양새다. 이를 실제 활용해야 하는 요양원 입소자와 요양보호사 등 이용자는 '다루기 어려운 기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교육부터 제대로 해 달라'는 요구가 빗발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간한 ‘건강보장 이슈앤뷰(Issue&View) 59호'에 따르면 국내 복지 기술 활용을 분석한 결과 안전기술 중 낙상방지 센서는 간병인의 16.9%, 사용자 보호자의 13.2%만이 사용하는 등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마찬가지로 안전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하는 간병인은 16.1%에 불과했다.
낮은 도입률에도 불구하고 복지 기술 도입 필요성에는 요양원 근무자 과반 이상이 동의하고 있다. 시설관리자(90.3%), 간병인(96.6%), 이용자 보호자(73.6%)의 상당수가 복지 기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안전기술과 치료기술에 대한 욕구도 상당하다. 낙상방지 센서는 시설관리자 82.4%, 간병인 81.8%, 이용자 보호자 70.9%가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 치료기술의 하위 카테고리인 센서기술은 시설관리자 76.9%, 간병인 65.6%, 이용자 보호자 72.9%가 필요성에 동의했다.
하지만 기술 이용자 21.6%는 복지 기술 사용과 관련 복잡성과 어려움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요양보호사 관리자 등 이용자 18.2%는 기술 교육에 대한 공공 재정 지원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았고 17.4%는 기기 오작동 대응의 어려움을 꼽았다.
요양업계에선 "근로자 훈련 및 교육이 복지 기술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영역"이라는 입장이다. 기타 중요한 지원 분야로는 장비 구입을 위한 재정 지원(26.3%)과 신뢰할 수 있는 복지 기술 기기 개발(13.8%)이라고 답했다.
한 요양보호사는 "복지 기기의 기술이 너무 정교하고 또 요양보호사 관련 입장에서 이런 기술을 다루는 숙련도가 중요한데 부적절한 정보 보급 및 교육, 효과를 측정하고 검증할 수 있는 지표의 부족함을 먼저 개선되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연구원 관계자는 "노인과 그 가족의 입장에서는 복지기술을 인간 돌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지원을 통해 인간 서비스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정보 부족으로 복지 기술에 어려움을 겪는 이용자에 대한 적절한 지도와 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관과 근로자에게는 전문교육을 통한 근로자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김미림 한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올바른 정책 개입과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동 노력을 통해 복지 기술 도입 관련 이용자와 공급자의 격차를 해소하고 노인 인구와 간병인을 위한 복지 기술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출처 : 여성경제신문(https://www.womaneconomy.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