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고령층도 디지털 문명 혜택 함께 누려야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3-08-16 10:34 조회 567회 댓글 0건본문
기사입력2023-08-15 00:00
디지털 소외계층 노인들은 더 많은 ‘비용’을 내고 있다㊦
디지털 소외를 해결하려면 정보취약계층 모두를 꼼꼼히 살펴야 하지만,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고령층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발표한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할 때 장애인은 82.2%, 저소득층은 95.6%, 농어민은 78.9%, 북한이탈주민은 91.8%, 결혼이민자는 90.2%, 고령층은 69.9%로 조사됐다. 즉 정보취약계층 중에서도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가장 낮다.
해당 조사에서 우리나라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나이가 젊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더 나은 것으로 조사됐다. 나이가 젊고 소득이 높을수록 디지털에 접근할 기회가 많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스마트폰을 접하는 것부터 장벽이 되는 셈이다. 우리나라 고령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81.5%로 전년 대비 2.7%p 증가했지만, 일반 국민의 스마트폰 보유율(98.3%)보다 14.1%p 낮았다. 또한 여성보다는 남성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더 높았는데, 이는 해당 세대의 성별에 따른 교육 수준과 경제력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적응속도 느리다고 ‘디지털 문맹인’으로 방치해야 하는가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노인인구 비율은 점점 늘어나고 고령화 속도 역시 아주 빠르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는 2018년에 고령사회에 접어들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된다.
그런데 변화에 적응하는 속도가 느리다는 이유만으로 노인들을 디지털 문맹인으로 방치하는 것이 과연 옳을까? 심지어 디지털 소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 역시 염두해야 한다.
문제는 독거노인이 점점 늘어나는 만큼 정보 격차에 따른 고립 역시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일반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9.1%에 달한다. 10가구 중 1가구는 독거노인 가구라는 것이다. 도움을 요청할 가족이 없거나, 있더라도 멀리 떨어져 사는 경우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젊은 세대와는 달리 스스로 정보를 검색해서 문제를 해결하기란 더더욱 어렵다. 앞으로 노인 1인 가구는 점점 늘어나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디지털 소외 해결을 위한 관심은 우리 사회에 놓인 문제들을 해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디지털 소외 현상은 빈익빈 부익부 등 소득 수준의 격차와도 연결된다고 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인빈곤율 1위 국가다. 물론 디지털 소외 문제를 해소한다고 노인빈곤율 문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노력한다면 그 심각성을 덜어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어르신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라도 디지털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는 삶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항목이 있는데, 고령층은 모든 항목에서 ‘그렇다’는 긍정적 응답이 일반 국민보다 낮았다. 특히 인터넷 이용자들보다 비이용자들의 만족도가 훨씬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면 ‘나는 내 삶에 만족한다’라는 질문에 일반 국민 전체는 72.3%가 ‘그렇다’고 대답했지만, 고령층 전체는 66.2%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특히 고령층 중 인터넷 이용자는 69.0%가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고령층 중 인터넷 비이용자는 52.0%만 만족했다.
누구나 ‘디지털 문명’의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해야
이러한 디지털 소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에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디지털배움터 사업이다. 디지털배움터는 누구나 디지털 세상에 쉽게 적응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이다. 디지털배움터 홈페이지의 ‘배움터 찾기’ 기능을 활용하면, 집에서 가까운 교육장소를 찾을 수 있다. 각 배움터마다 교육프로그램은 다르지만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하는 등의 수업을 받거나 키오스크 등의 기기를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또 스마트폰 앱으로 버스나 기차를 예매하고 택시를 호출하는 것을 연습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어르신들을 위해 디지털 교육에 나섰다. 2021년부터는 ‘스마트 경로당’이라는 사업도 생겨났다. 스마트 경로당이란 정보통신기술(ICT) 화상 플랫폼과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기기 등을 구축해, 어르신들을 위한 여가 및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경로당을 의미한다. 부천시는 2022년부터 스마트 경로당 45곳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 상반기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만족도가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등에서는 디지털 기기 활용법에 능숙한 청소년과 대학생이 어르신들에게 활용 방법을 안내하는 세대 간 교류와 소통의 장도 마련한 바 있다.
또한, 현재까지는 디지털 교육이 인터넷과 모바일에 치중돼 있는데 앞으로는 변화하는 기술 흐름에 발맞춰 최신 기기와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다. 충북도는 도민 누구나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도내 11개 시군에 ‘디지털 체험존’을 각각 설치하고, 7월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체험존에 방문하면 키오스크와 인공지능(AI) 스피커, VR과 AR 등 다양한 최신 디지털 기기 등을 직접 다뤄볼 수 있으며,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바드 등 생성형 AI도 활용해 볼 수 있다.
기업 차원에서 나서는 경우도 있다. 지난 7월19일 하나은행은 교육부와 ‘디지털금융 문해력 향상·금융소비자 보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나은행은 교육부 산하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손잡고, ▲금융 문해교육 플랫폼 개발과 현장실습 ▲디지털 금융 문해 교과서 학습 보조도구 개발 및 보급 ▲금융사기 예방 및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교육 운영지원 ▲문해교육 활성화를 위한 행사 후원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하나은행은 금융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문해 교과서’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처럼 사회 곳곳에서 다양한 시도가 있지만, 디지털 소외를 막기 위해서는 더욱 세심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정부24 사이트를 이용하면 주민등록등본을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지만, 이를 알지 못하는 노인들은 행정복지센터까지 직접 찾아가서 발급한 뒤 비용을 납부한다. 적어도 공공기관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이러한 비용을 면제하는 것도 고려하는 것이 어떨까. 버스에서 돈통을 없애고 현금을 받지 않는 변화 역시 좀 늦추더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한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해볼 수 있다.
아울러 키오스크 등에 손쉬운 UX와 UI를 적용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가급적이면 통일해서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겠다. 실제로 교육용 키오스크로 연습했더라도 막상 식당이나 카페에 방문하면, 키오스크 화면과 작동방식이 제각각 달라 혼동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주문 화면의 글씨가 작을 경우 장애인과 노인에게는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익혔더라도, 시력이 좋지 않고 기억력이 감퇴하는 연령대라는 노인의 특성 자체를 이해해 UX와 UI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 전반의 이해와 공감이다. 현재의 노인 세대는 어리거나 젊었을 때부터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접해온 젊은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상황에 놓여 있다. 오히려 이러한 변화에 둔감하거나 잘 모르는 것이 자연스럽다. 당사자 입장에서의 두려움과 막연함을 사회구성원 모두가 이해하고, 천천히 익힐 수 있도록 기다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디지털 소외가 결코 당사자의 문제가 아닌 공동체 전체와도 연결된 문제라는 점 역시 모두가 인식해야 한다. 중기이코노미 안수영 기자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